|
 |
|
 |
|
일반적으로 많은 환자들이 불치병이라는데 생각하고 있는데, 비록 치료가 어려운 병이라고는 하지만 불치병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 병은 10명중에 한 명은 저절로 낫고 나머지 환자들 중에서도 약 60-70%는 약물로 좋은 치료결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잘 조절하면서 생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 |
|
 |
|
 |
 |
|
 |
|
 |
 |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 면역 질환 |
|
자가 면역 질환은 쉽게 설명하면 우리 몸 속에는 우리 몸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백혈구들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균이나 세균 같은 나쁜 것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데, 어떤 알 수 없는 이유로 등을 돌려서 우리 자신의 몸을 스스로 공격하기 때문에 생기는 병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전 인구의 1%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환자 10명중에 8명이상이 여자입니다. 여자들의 체내에 있는 여성 호르몬등이 병을 더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유전이나 전염이 되는 병은 아닙니다. | | |
|
 |
|
 |
 |
|
 |
|
 |
증상 및 진단 |
|
관절이 붓거나, 쑤시고, 아프며, 아침에 일어났을 때 관절이 아프고 뻣뻣해서 잘 움직이지 못하는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또 오른쪽과 왼쪽이 같이 아픈 경우가 제일 흔한 증상입니다. 그 외에도 눈이 뻑뻑하고, 충혈이 생기며, 입이 잘 벌어지지 않으며, 귀안에 있는 관절이나 조직에 염증이 오면 귀가 울리고 잘 안들리고, 성대 아래 관절에 염증이 오면 목소리가 변하며 쉰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몇 개의 관절이 붓거나 아프고(특히 손가락 관절), 양쪽에 대칭적으로 소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도 아픈 경우, 또 아침에 관절이 뻣뻣한 정도가 약 1시간 이상 오래 지속되는지 여부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또한 류마티스 결절 및 X-레이 사진상으로 관절 손상이 보이며, 피검사에서 류마티스 인자라고 하는 항체가 검출되는지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류마티스 관절염의 조절 |
|
류마티스 관절염은 치료로서 어느 정도 잘 조절해 나간 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여러 가지 약물을 같이 투여하더라도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라앉히기에는 상당히 시간이 걸린 다는 사실을 인내하며 적응해 가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을 하거나 관절내시경을 통해서 활액막을 제거해낼 수도 있고 혹은 관절염이 오래돼서 관절이 다 닳아 없어졌을 때(관절이 다 망가졌을 때)에는 관절을 갈아 끼우는 인공 관절 수술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경우 약물로 잘 치료할 수가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민간요법(고양이, 벌침, 지네등)을 많이 시도해 보는데 어떠한 것도 뚜렷이 류마티스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 | |
|
 |
|
 |
 |
|
 |
|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임신 |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임신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지만 한 가지 주의해야 합니다. 약으로 쭉 치료하다가 결혼을 해서 임신을 하고자 할 때는 그때까지 쓰던 약을 다 끊고 한 3개월 동안 기다리신 다음에 즉, 약효가 체내에서 다 없어진 후에 임신해야 합니다. 이때 약을 끊고 몇 달 견디는 기간 동안이 상당히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임신중에 쓸 수 있는 홀몬제 같은 것을 조금씩 쓰면서 조절해 나갈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아기를 낳고 난 다음에 또 아파지면 좀 더 여유 있는 자세로 약을 마음 놓고 투여해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
|
 |
|
|